C언어의 기본_1
chapter1. 프로그램의 기본구성
"C언어는 함수로 시작해 함수로 끝난다"
* 함수의 정의 : 만들어진 함수, 실행이 가능한 함수를 일컬음
* 함수의 호출 : 함수의 실행을 명령하는 행위
* 인자의 전달 : 함수의 실행을 명령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
ex) int main(void) = 출력형태 함수이름(입력형태) : 출력의 형태가 int이고 입력이 void인 main이라는 이름의 함수
표준함수 : 기본적으로 제공 되는 함수
표준 라이브러리 : 표준함수들의 모임
헤더파일 : 메뉴판처럼 여러 함수들을 포함하고 있는 파일
retrun 문의 의미 : 1. 함수를 호출한 영역을 값 전달(반환), 2. 현재 실행중인 함수의 종류
주석 처리 방법 : //, /**/, ctrl + k + c, ctrl + k + u
chanpter2. 변수와 연산자
연산자(operator) : C언어를 이용하여 특정 연산을 요구할 떄 사용되는 약속된 기호
변수(variable) : 임의의 값을 대입할 수 있는 문자 (초기화 하지 않으면 쓰레기 값이 저장됨)
변수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ex) int num = 12; // 변수(int) 변수이름(num) 대입연산자(=) 초기화할 값(12)
변수의 규칙
- - 변수의 이름은 알파벳, 숫자, 언더바_ 로 구성됨
- - C언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함
- -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, 키워드도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
- - 이름 사이에 공백이 삽입될 수 없다
변수의 자료형(Data Type)
- 정수형 변수 : 정수의 저장를 목적으로 선언된
- char 형
- short 형
- int 형
- long 형
- 실수형 변수 : 소수점 이하의 값을 지니는 실수의 저장을 목적으로 선언된 변수
- float 형
- double 형
C언어의 연산자
- 대입 연산자와 산술 연산자
- 복합 대입 연산자
- 부호연산의 의미를 갖는 +연산자와 -연산자
- 증가, 감소 연산자
- 관계 연산자
- 논리 연산자
- 콤마( , ) 연산자
순위 | 연산기호 | 연산자 | 결합방향 |
1위 | () | 함수호출 | → |
[] | 인덱스 | ||
-> | 간접지정 | ||
. | 직접지정 | ||
++ -- |
후위증가 및 감소 | ||
2위 | ++ -- |
전위증가 및 감소 | ← |
sizeof | 바이트 단이 크기 계산 | ||
~ | 비트 단위 NOT | ||
! | 논리 NOT | ||
-,+ | 부호 연산 | ||
& | 주소 연산 | ||
* | 간접지정 연산 | ||
3위 | (casting) | 자료형 반환 | ← |
4위 | *, /, % | 곱셈, 나눗셈 관련 연산 | → |
5위 | +, - | 덧셈, 뺄셈 | → |
6위 | <<, >> | 비트이동 | → |
7위 | <, >, <=, >= | 대소비교 | → |
8위 | ==, != | 동등비교 | → |
9위 | & | 비트 AND | → |
10위 | ^ | 비트 XOR | → |
11위 | | | 비트 OR | → |
12위 | && | 논리 AND | → |
13위 | || | 논리 OR | → |
14위 | ? : | 조건연산 | ← |
15위 | =, +=, -=, *=, /=, %=, <<=, >>=, &=, ^=, |- | 대입연산 | ← |
16위 | , | 콤마연산 | → |
cf) c언어의 표준 키워드(Keyword) = 이미 동도가 결정되어 프로그래머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됨
auto, _Bool, _Complex, _Imaginary, break, case, const, continue, default, do, else, enum, extern, for, while, goto, if, return, restrict, signed, unsigned, sizeof, typedef, static, struct, switch, union, void, volatile, char, double, float, short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