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, 자료형
- 자료형
- 숫자형
- 정수형 : a = 12 등
- 실수형 : a = 1.2 ,a = 4.24E10(=4.24*10^10), a = 4.24e-8(=4.24*10^-8)
- 8진수, 16진수 : 8진수 : a = 0o12, 0O12 / 16진수 : a = 0x8A
- 복소수 : a = 1 + 2j, 1 + 2J (1 + 2i)
- 숫자형 활용 연산자
- 사칙연산 연산자 : +, -, *, / (/는 실수 자리까지 계산함)ㅇ
- 제곱 연산자 : ** (X**Y = X^Y)
- 소수점 아래는 버리는 나눗셈 연산자 // ex) 7/4 = 1.75, 7//4 = 1
- 숫자형 활용 연산자
- 문자열 자료형
- 문자열 만드는 법
- 한줄 문자열 : ' 문자열 ' , " 문자열 " (' 와 " 를 문자열에 포함시키기 위해 2가지 \', \"로 쓸 수도 있음)
- 여러 줄 문자열 : '''문자열''', """문자열""" (개행문자와 같은 의미로 사용됨)
- 문자열 연산
- +연산 : a = 'Hello', b = 'world', a+b = 'Helloworld'
- *연산 : a * 2 = 'HelloHello'
- ex) print('='*20) -> 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문자열 인덱싱(가리키기) 와 슬라이싱(잘라내기)
- 인덱싱 : a = 'Hi python' ( a[3] = 'p', a[-2] = 'o' )
- 문자열 만드는 법
- 숫자형
H | i | p | y | t | h | o | n | |
0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-9 | -8 | -7 | -6 | -5 | -4 | -3 | -2 | -1 |
- 슬라이싱 : b = [0:6] (= a[0] + a[1] + a[2] + a[3] + a[4] + a[5]) 0 <= a < 6 / 생략 시 끝까지
- ex) b = a[7:] = 7부터 끝까지, b = a[:6] = 0부터 5까지
- 슬라이싱 : b = [0:6] (= a[0] + a[1] + a[2] + a[3] + a[4] + a[5]) 0 <= a < 6 / 생략 시 끝까지
- 문자열 포메팅(서식문자)
- 숫자 대입 : "I eat %d apples. " %3
- 문자열 대입 : "I eat %s apples. " % "five"
- 변수로 대입 : number = 3 / "I eat %d apples. " %number
- 2개 이상 값 넣기 : " %d %s " %(number, "apples")
- cf) 포매팅 연산자와 사용할 때 %를 같이 쓰려면 %%로 쓴다
- 포맷 코드와 숫자 함께 사용하기
- 정렬과 공백
- "%10s" %"hi" =>" hi" (10개 자리에서 오른쪽 정렬)
- "%-8s" %hi" => "hi "(8개 자리에서 왼쪽 정렬)
- 소수점 표현
- "%0.4f" %3.141592 => "3.1415" (소수점 4번째 자리)
- "%-10.5f" %3.141592 => "3.14159 "(소수점 5번째 자리 10개 자리에서 왼쪽정렬(점도 1칸)
- 정렬과 공백
- 문자열 관련 함수
- 문자 개수 세기 count() : a='hobby' / a.count('b') = 2 / b의 개수 세기
- 위치 알려주기 1 find() : a.find('y') / a.find('y') = 4 / 첫 위치 반환, 없으면 -1
- 위치 알려주기 2 index() : a.index('y') / find와 동일, 없으면 오류 발생
- 문자열 삽입 join() : a = ',' / a.join('abcd') / 'a,b,c,d' = 문자열 각 문자 사이에 a 삽입
- 리스트, 튜플을 문자열로 만들기 Ex) "".join(a)
- 소문자->대문자 upper() : a = 'hi' / a.upper() / a = 'HI'
- 대문자 -> 소문자 lower() : a = 'HI' / a.lower() / a = 'hi'
- 왼쪽 공백 지우기 lstrip() : a = ' hi' / a.lstrip() / a = 'hi'
- 오른쪽 공백 지우기 rstrip() : a = 'hi ' / a.rstrip() / a = 'hi'
- 양쪽 공백 지우기 strip() : a = ' hi ' / a.strip() / a = 'hi'
- 문자열 바꾸기(치환) replace() : a = 'hello world' / a.replace('hello', 'hi') / a = 'hi world'
- 문자열 나누기(리스트로 반환) split() : a = 'hi world' / a.split() - 공백기준 / a = ['hi', 'world'] / a = 'a:b:c:d' / a.split(:) / a = ['a', 'b', 'c', 'd']
'IT공부 > 점프 투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기본 문법 익히기_4 (0) | 2022.04.26 |
---|---|
파이썬 기본 문법 익히기_3 (0) | 2022.04.10 |
파이썬 기본 문법 익히기_2 (0) | 2022.03.24 |